영암의 금석문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영암의 금석문 학산면
호조참판 최석징 묘비

주  소
학산면 신덕리 319-1
건립연대
숭정후 3 신묘 3월(1771년) *최석징 : 1604~1667

본문

 

1711499240.5613fvmJIwKbVB.png

1711499243.3875kVVdZDTNvy2.png



유명조선 증 호조참판 최석징의 묘

증 정부인 원주이씨, 부좌(祔左)
아아! 나의 백부이신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 최공(崔公)
은 휘가 석징(碩徵), 자가 현경(顯卿)으로 관향이 해주(海州)인 분이다. 조상 가운데 고려
조에서 시중(侍中)을 지낸 문헌공(文憲公) 휘 충(冲) 공이 계시니, 세간에서 최충 공을
일컬어 해동공자(海東孔子)라고 하였다. 그 뒤 명신(名臣)과 재상(碩輔)으로 고려 조에서
이름을 날린 분이 8대에 걸쳐 있었다.
우리 조정에 들어서는 집현전(集賢殿) 부제학(副提學)을 지내신 휘 만리(萬理) 공이
있으니, 문장과 학식으로 세종(世宗)을 섬겼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 되었다.
손자인 사간원(司諫院) 헌납(獻納) 휘 세걸(世傑) 공이 강직한 도(道)로 연산군(燕山君)을
거슬렀으므로 거듭된 화를 입었다. 3세가 지나 성균관 직강(直講) 경창(慶昌) 공은 호가
고죽(孤竹)으로 문장으로 세상에 이름이 났으니, 곧 공의 증조부가 된다. 조부는 휘가 집(
潗) 공으로 중망을 받았으나 현달하지 않았고, 호조좌랑(戶曹佐郞) 관직에 있다가 세상을
떴으며,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증직되었다. 부친은 휘가 진해(振海) 공으로 안산군수(安
山郡守)를 지냈으며, 좌찬성에 증직되었다. 문고(文稿)가 《고죽집(孤竹集)》에 덧붙여
세상에 통행하게 하였다. 문헌공 이래로 20대에 이르기까지 대대로 관직자를 배출하였다.
공은 아우가 셋 있었는데 모두 조정에서 벼슬하였으나, 공은 어려서 병치레가 잦아서 전리
(田里)에 은거하면서 세상에 나오지 않았으므로, 혼자 벼슬을 살지 않았다. 공이 세상을 뜰
때 나는 나이가 적었고, 또 사는 곳이 멀어서 좌우에서 상사를 보필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공께서 집에 머물며 옳은 일을 행한 것에 대하여 기록할 수 없었다. 그러나 공은 한거(閒
居)할 때 족보 보기를 좋아했는데, 대개 내 몸은 부모로부터 태어났으니 부모와 부모의
부모도 또한 각각 태어난 바가 있다고 생각하고, 반드시 그 근원을 궁구하여 그 나온 바를
알고자 하였다. 100여 집안에서 보책을 가져다가 참고하여 고증한 것이 해마다 쌓이자,
당시 족보의 대가로 칭하였다. 집안사람이 그 계보를 잊어 그 순서가 잘못되었을 때 많이
바로잡을 수 있었다.
아아! 사람이 짐승과 다른 것은 그가 선조가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지금 세속에서 말하는
8고조는 부모로부터 3대조까지를 말하는 것으로, 지금의 사대부는 어쩌다 다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니 하물며 먼 몇 대나 더 조상은 어떠하겠는가?
이로 말미암아 보면, 공의 효사(孝思)가 무궁하였으니, 어찌 효도를 실천하지 않았겠는가?
나는 늙은 뒤에야 공의 자손을 직접 보았는데, 나의 자손과 함께 친진(親盡)해야 하는
이들인데 이미 두 대나 지났다. 그들이 길에서 만나는 사람과 다름이 없으니, 매양 그것을
생각하면 언제나 애통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이후로 태어나는 자가 만약 공이 이렇게 한
일을 생각해 본다면 효제하는 마음이 어찌 자연스레 생기지 않겠는가?
종족의 계보를 정리하여 풍속을 도탑게 하였으니, 그 공이 어찌 크지 않겠는가?
어머니는 의령남씨로 공의 외조부는 호군(護軍)을 지낸 타(柁) 공으로 영의정 남구만(南
九萬)이 귀하게 되자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증직되었다. 부인은 원주 이씨로 승의랑(承
議郎) 해(海)의 따님이니,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 공의 외손이다. 최씨와 백씨가 한
집안이 된 것으로 사람들이 기이한 일로 여겼다.
공의 장남은 운서(雲瑞)로 병사(兵使)를 지냈으니 공이 귀해진 것이 이 사람 때문이었고,
어머니도 그러하여 정부인(貞夫人)에 증직되었다. 차남은 서(龜瑞)로 유학을 배웠으나
일찍 세상을 떴으며, 그 다음 인서(麟瑞)는 효성이 지극하여 상례를 이루 다 감당할 수
없을 정도였다.
병사의 아들은 상기(尙夔), 상설(尙說), 상망(尙望)이고, 딸은 오침의 처가 되었다. 차남
구서의 아들은 상하(尙夏), 상은(尙殷)이며, 인서의 아들은 상주(尙周)이고, 병사의 서자로
상중(尙仲)이 있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상의(尙毅), 상휘(尙徽), 역시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상성(尙晟), 상식(尙軾)이다.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상기의 아들은
익흥(益興)이고, 딸은 김해의 처이며, 상설의 아들은 만흥(晩興), 윤흥(胤興)이고, 딸은
유재(柳縡)의 처가 되었다. 상망의 아들은 진흥(震興), 정흥(鼎興)이고, 상하의 자식은 종흥
(宗興), 언흥(彦興), 경흥(景興)이다. 상은의 아들은 빈흥(賓興)이고, 두 딸은 박사신(朴師
莘), 오시헌(吳時憲)의 처이다. 상주의 아들은 필흥(弼興), 명흥(命興)이고, 두 딸은 이의항
(李義恒), 이희창(李希昌)의 처이다. 그 외에는 많으므로 다 적지 않는다.
공은 갑진년 7월 11일생으로 정미년 8월 27일에 졸하였고, 같은 해 11월 20일에 영암군
곤이도(昆二道) 해암리(海嵓里) 임좌(壬坐)의 땅에 장사지냈다.
조카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로 치사한
봉조하 최규서가 삼가 기록하였다.
이상 《최공묘표(崔公墓表)》는 공의 증손인 명흥 씨가 그 사실을 말한 것이다. 문장은 그
재종대부(再從大父)인 간재(艮齋) 최 상공(相公)이 지었다. 비면의 큰 글자는 상국(相國)
서명균(徐命均)이 옮겼고, 그 음기는 완산 이광사(李匡師)가 썼다. 새긴 지 오래되어 힘써
이어가려 하였으나 미처 완성하지 못했고, 재지도 사라져갔다. 신묘년에 명흥 씨의 자손,
수덕(粹德)과 그의 삼종제인 수민(粹民)·수학(粹學)과 함께 공업을 의논하여 비석을
세우고 나에게 간략한 사실의 전말을 아래에 이같이 새겨달라고 하였다.
전 부솔(副率) 원주 이의경(李毅敬)이 삼가 기록한다.
숭정(崇禎) 후 3 신묘(辛卯) 3월 일 세움

有明朝鮮 贈戶曹叅判崔公碩徵之墓
贈貞夫人原州李氏 祔左
嗚呼我伯父 贈嘉善大夫戶曹叅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崔
公諱碩徵字顯卿海州人在高
麗有侍中文憲公諱冲世稱爲海東孔子厥後名臣碩輔顯名麗朝爲八代入我
朝集賢殿副提學諱萬理以
文學事 世宗錄淸白吏孫司諫院獻納諱世傑以直道忤燕山被追旤三世而
成均館直講諱慶昌號孤竹以
文章名世卽公曾祖也祖考諱潗有重望未顯卒官戶曹佐郞 贈吏曹判書考
諱振海安山郡守 贈左贊成
有文稿附孤竹集行世自文憲以後二十代世襲冠冕公弟三人皆仕于朝公少
而多病優閒田里不出世路故
獨不仕公卒之時奎瑞年甚少且居在千里之遠不得奉事左右故居家行誼不
能記然公閒居好觀族姓書盖
以爲父母吾身之所自出而父母與父母之父母又各有所自出必欲究窮其源
盡識其所自出聚譜書百餘家
叅互考證積以年歲時稱譜書大方家人之失系而舛序者多就而正焉噫人之
所以異於禽獸者以其知有祖
先也今世俗所謂八高祖厺父母以上三代至近也而今之士大夫或有不能盡
知者況累世之遠乎由此觀之
公孝思之無窮豈不爲百行之源也奎瑞老壽目見公之子孫餘奎瑞子孫親盡
者已兩代矣其不爲行路人者
幾希每念之未嘗不嗟傷凡此後生者若想像公此事則孝弟之心豈不油然而
生乎修宗族厚風俗其功不其
大矣乎妣冝寧南氏外祖護軍諱柁以領議政九萬貴 贈兵曹判書配原州李
氏承議郎海女玉峯白公光勳
外孫崔白通家人以爲奇事長男雲瑞兵使公之貴以此妣亦 贈貞夫人次龜
瑞習儒學蚤卒次麟瑞至孝不
勝喪兵使子尙夔尙說尙望女吳□妻仲之子尙夏尙殷季之子尙周兵使庶子
尙仲僉知尙毅尙徽僉知尙晟
尙軾僉知尙夔子益興女金楷妻尙說子晩興胤興女柳縡妻尙望子震興鼎興
尙夏子宗興彦興景興尙殷子
賓興二女朴師莘吳時憲妻尙周子弼興命興二女李義恒李希昌妻餘外多不
能盡載公以甲辰七月十一日
生以丁未八月二十七日卒同季十一月二十日葬于靈巖郡昆二道海嵓里壬
坐之原
從子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 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
監事致仕奉朝賀奎瑞謹記
右崔公墓表公曾孫命興氏實尸其事文則其再從大父艮齋相公撰碑面大
字徐相國命均寫其陰完山
李匡師書營刻累載力綿未克成齎志而歿歲辛卯命興氏胤粹德與其三從
弟粹民粹學議募工而鐫之
石請余略記事顚末于下方如此云前副率原州李毅敬謹識
崇禎後三辛卯三月 日立

유명조선 증호조참판최공석징지묘
증정부인원주이씨 부좌
오호아백부 증가선대부호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부총관최공휘석징자현경해주인재고
려유시중문헌공휘충세칭위해동공자궐후명신석
보현명려조위팔대입아 조집현전부제학휘만리이
문학사 세종록청백이손사간원헌납휘세걸이직도
오연산피추화삼세이성균관직강휘경창호고죽이
문장명세즉공증조야조고휘집유중망미현졸관호조
좌랑 증이조판서고휘진해안산군수 증좌찬성
유문고부고죽집행세자문헌이후이십대세습관면
공제삼인개사우조공소이다병우한전리불출세노고
독불사공졸지시규서년심소차거재천리지원부득봉
사좌우고거가행의불능기연공한거호관족성서개
이위부모오신지소자출이부모여부모지부모우각유
소자출필욕구궁기원진식기소자출취보서백여가
참호고증적이년세시칭보서대방가인지실계이천
서자다취이정언희인지소이이어금수자이기지유조
선야금세속소위팔고조거부모이상삼대지근야이금
지사대부혹유불능진지자황누세지원호유차관지
공효사지무궁개불위백행지원야규서노수목견공지
자손여규서자손친진자이양대의기불위행로인자
기희매념지미상불차상범차후생자약상상공차사
칙효제지심개불유연이생호수종족후풍속기공불기
대의호비의녕남씨외조호군휘타이령의정구만귀
증병조판서배원주이씨승의랑해녀옥봉백공광훈
외손최백통가인이위기사장남운서병사공지귀이차
비역 증정부인차구서습유학조졸차인서지효불
승상병사자상기상설상망녀오침처중지자상하상은
계지자상주병사서자상중첨지상의상휘첨지상성
상식첨지상기자익흥녀김해처상설자만흥윤흥녀류
재처상망자진흥정흥상하자종흥언흥경흥상은자
빈흥이녀박사신오시헌처상주자필흥명흥이녀이의
항이희창처여외다불능진재공이갑진칠월십일일
생이정미팔월이십칠일졸동계십일월이십일장우
영암군곤이도해암리임좌지원
종자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겸령 경연홍문
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치사봉조하규서근기
우최공묘표공증손명흥씨실시기사문칙기재종대
부간재상공찬비면대자서상국명균사기음완산
이광사서영각누재력면미극성재지이몰세신묘명
흥씨윤수덕여기삼종제수민수학의모공이전지
석청여략기사전말우하방여차운전부솔원주이의
경근식
숭정후삼신묘삼월 일립






Copyright © 영암문화원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