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의 금석문

본문 바로가기





영암의 금석문 군서면

통훈대부 박영건 묘비

주  소
군서면 마산리 산 63-1
건립연대
저옹집서 대장지상한(무진 1928년 2월 상순)

본문

 

1710742739.894yYgBQiAJqH.png

1710742744.2045GNKyHBMPcl2.png



유명조선 통훈대부 행 제주교수 함양박씨 박영건의 묘

숙인 남양홍씨 동원(同原)
공의 성은 박씨이고 휘는 영건(英建), 자가 수부(秀夫)이며, 월은(月隱)은 그
호이다. 본관은 함양(咸陽)이니, 고려 때 예부상서를 지낸 휘 선(善) 공이 그 시조가
된다. 대대로 빛나는 가문이라 공경(公卿)을 여러 명 냈다. 우리 조정에서는 휘
언(彦) 공이 계시니 문과에 급제하여 판서가 되었고, 휘 성건(成乾)공은 문과에
급제하여 현감이 되었으며, 호를 오근이라 하였는데, 처음 영암 구림(鳩林)
에 기거하기 시작하여 항촌 사람들이 그 덕을 사모해 제기를 진설하여 제사를
지냈고, 죽정서원(竹亭書院)에 배향했으니, 공의 5대조가 된다. 고조는 휘가 율
(栗)로 참봉을 지냈으며, 증조는 휘가 기정(箕精)으로 참봉을 냈다. 조부는 휘가
충세(忠世)로 강직한 이름을 떨쳤다. 부친은 휘가 경(敬)으로 첨지중추부사를
지냈고, 부인은 여흥 민씨로 참봉인 삼(參)의 따님이다. 만력 기축년 구림에서 공을
낳았다. 4세 때 첨추공이 세상을 뜨자 공은 본인 힘으로 공부하여 문예에 성취를
이루었고, 일찍이 사림의 중망을 받았다. 이때 임진왜란, 정유재란의 병화를
겪었는데 공은 힘을 다하여 모친을 모셨다. 효성과 봉양이 모두 지극하여 모친이
여러 차례 과거를 보게 하였으나 급제하지 못했고, 광해군 때 인륜이 무너지자
문을 걸어 잠그고 과거를 보지 않았다.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특별히 제주교수(濟州敎授)에 제수되었다. 섬의 풍속이
비록 문학(文學)에 어두웠으나 그 중 특출난 자를 가려 뽑아 글방에 기숙하게
하고, 녹봉으로 부양하며, 일과월시(日課月試)하는 체제를 이행하자, 차차 풍교가
일어나 사람들이 스스로 쇄신하며, 마치 비늘과 껍데기를 벗어내는 듯하였으니,
사람들이 칭송하기에 이르렀다. 난정에서 회복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병자호란,
정묘호란을 당하여 천지의 의리가 뒤바뀐 날이 되었으니, 더 나아갈 뜻이 없어
물러나 농촌에 살면서 산천을 노닐다가 세상에 후회를 두는 일이 없었다. 효종
경인년 4월 5일 졸하니, 묘는 동군 오산의 계좌(癸坐)에 자리하였다. 배위는 전의
(全義) 이씨로 후손이 없었고, 후처는 남양(南陽) 홍씨로 참봉 세민의 따님인데,
묘는 전처와 후처가 같은 곳에 있으며, 4남 2녀를 두었다. 아들은 지태(之泰), 지형
(之衡), 지화(之華), 지항(之恒)이며, 딸은 장녀가 거창의 신서(愼曙)에게 시집갔고,
차녀는 순천의 박양주에게 시집갔으니, 내외의 후손들이 매우 번성하여 다 적지
않는다.
공은 대대로 가문의 문행(文行)으로 경륜을 펼치고자 하였으니, 마땅히 세상에서 큰일을
할 줄 알았지만 일찍 과거를 사양하고 늦게 태평성대를 만났고, 잠시 주학(州學)을
맡았으나 다 이용되지 못하고, 다시 정축년의 복변(福變)을 만나 다시 진사가 되지 않았고,
기꺼이 황명의 일민이 되었으니, 그 또한 의리를 지켜 변하지 않은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아, 공(公)의 지행(志行)과 기절(氣節)은 치옹할 것이 많았으나, 지금은 공이 살았던
시절과 수백 년이나 차이가 나니, 덕을 빠뜨려서 문헌(文獻)으로 징험되지 않으니, 이것이
가히 한스럽다. 후손들이 바야흐로 묘도(墓道)에 비석을 세우려고 도모하니 찬석을
나에게 보내어 명을 지어달라고 청하였다. 나는 병이 난데다 문장도 없어서 사양하였으나
그 간절함이 더욱 절실하므로 그 문서를 모아다 삼가 명을 짓는다. 이름난 박씨가문
대대로 훌륭한 덕 있었네. 공은 능히 생원이 되었을 터이나 어긋났지만, 그 인을 지극히
하여 정성스럽고 전아하며 신중하였다네. …… 속세의 쓰임을 어찌 궁구할까? 오직
독실하게 행동할 뿐이로다. 병자, 정유년 이후 의를 지킴이 견고하였네. 오산의 한 자리에
봉분 4척이 있노라. 오랜 유래 있으니 지나가는 자가 반드시 시험해 보리라.
무진[著雍執徐] 2월 상순 [大壯之上澣], 금성(錦城) 오준선 삼가 지음
전주(全州) 최병두 공경하여 씀

有明朝鮮通訓大夫行濟州敎授咸陽朴公英建之墓
淑人南陽洪氏 同原
公姓朴氏諱英建字秀夫月隱其號系出咸陽高麗禮部尙書諱善其肇祖連世烜爀
累公累卿人我 朝有諱彦文科判書諱成乾文科縣監號五恨始居靈巖之鳩林鄕
人慕其德而俎豆之享竹亭書院於公爲五世祖也高祖諱栗叅奉曾祖諱箕精參奉
祖諱忠世直振考諱敬仁僉中樞妣驪興閔氏叅奉參女 萬曆己丑生公于鳩林四
歲而僉樞公見背公能自力爲學文芸夙就早負士望時經壬丁兵燹公竭力奉親
孝養備至以親命累擧不第値光海斁倫杜門廢擧 仁廟改玉特除濟州敎授嶋
俗虽虽眛於文斈乃簡其秀者黌處而俸養之日課月試以次風動人自刷濯若胱
鱗介至今稱頌焉解皎未幾當丙丁天地翻覄之日旡意進取退處□畒逍遙於山
淑水涯以沒世无悔卒于 孝廟庚寅四月五日墓在同郡蜈山癸坐之原配全義
李氏无育繼配南陽洪氏叅奉世民女墓前后配同原擧四男二女男之泰之衡之
華之恒女長適居昌愼曙次順天朴樑柱內外孫甚蕃衍不盡載公以世家文行藴
抱經綸宜若有爲於世而早謝擧業晩際 聖代暫試州學未克究用而旋遭丁丑
福變不復仕進甘爲 皇明逸民其亦可謂秉義不渝者矣嗚呼公之志行氣節多
有可稱今距公世數百年狀德闕焉文獻旡徵是可恨也後孫方謀竪碑於墓道使
燦錫謁余爲銘余辭以襄病旡文而其懇彌切遂掇其事狀謹爲之銘曰
朴氏名閥世有令德惟公克生員荷不忒肫肫其仁諄諄雅飭視斈于濟丕燮□俗
用何能究惟行之篤丙丁以後守義堅確蜈山之原有封四尺有來百世過者必式
著雍執徐大壯之上澣錦城吳駿善謹撰
全州崔秉斗敬書

유명조선통훈대부행제주교수함양박공영건지묘
숙인남양홍씨 동원
공성박씨휘영건자수부월은기호계출함양고려례부상서휘선기조조연세훤혁
누공누경인아 조유휘언문과판서휘성건문과현감호오한시거영암지구임향
인모기덕이조두지향죽정서원어공위오세조야고조휘율참봉증조휘기정참봉
조휘충세직진고휘경인첨중추비여흥민씨참봉참녀 만력기축생공우구림사
세이첨추공견배공능자력위학문운숙취조부사망시경임정병선공갈력봉친
효양비지이친명누거부제치광해두륜두문폐거 인묘개옥특제제주교수도
속수수매어문학내간기수자횡처이봉양지일과월시이차풍동인자쇄탁약광
인개지금칭송언해교미기당병정천지번복지일기의진취퇴처□묘소요어산
숙수애이몰세무회졸우 효묘경인사월오일묘재동군오산계좌지원배전의
이씨무육계배남양홍씨참봉세민녀묘전후배동원거사남이녀남지태지형지
화지항녀장적거창신서차순천박량주내외손심번연부진재공이세가문행온
포경륜의약유위어세이조사거업만제성대잠시주학미극구용이선조정축
복변불복사진감위 황명일민기역가위병의불투자의오호공지지행기절다
유가칭금거공세수백년상덕궐언문헌기징시가한야후손방모수비어묘도사
찬석알여위명여사이양병기문이기간미절수철기사상근위지명왈
박씨명벌세유령덕유공극생원하불특순순기인순순아칙시학우제비섭□속
용하능구유행지독병정이후수의견확오산지원유봉사척유래백세과자필식
저옹집서대장지상한금성오준선근찬
전주최병두경서





방문자 집계

오늘
1,054
어제
3,242
최대
3,242
전체
1,294,286

영암문화원 열람실 | 대표자 : 원장 김한남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로55

TEL : 061-473-2632 | FAX : 061-473-2732 | E-mail : ycc2632@hanmail.net

Copyright © 영암문화원.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