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의 누정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영암의 금석문
두봉유거 (斗峯幽居)

주  소
용이 노는 곳에 자리잡은 동복오씨 융성터

본문

 

두봉유거(斗峯幽居)


• 창건자 : 오수탁(吳壽鐸)

• 창건시기 : 1880년 이전

• 위치 : 학산면 용소리 신안정마을


학산면 신안정마을은 가학산(駕鶴山)[575m]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물이 망월천을 따라 독천을 지나 목포 앞바다로 빠져나간다. 옛날 해남군 계곡면 사람들은 가학산을 넘어 이 내[ 川]를 따라 독천장을 다녀갔다. 망월천은 광암을 시작으로 지소, 용계, 신안정마을을 감싸고 돌아가며 용의 몸처럼 흘러간다. 이곳 지명에 용소리(龍沼里, 용이 노는 늪이 있는 곳), 용계 (龍溪, 용 모양의 시냇물) 마을이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신안정마을 주변에는 나지막한 산이 솟아있고, 주변은 비옥하고 청정한 토질의 논과 밭이 드넓다. 강진 성전에서 밤재를 넘어오거나, 해남 계곡에서 가학산을 넘어온 사람들은 이곳 신안정마을 언저리쯤에서 서로 만나 독천장으로 향했을 것이다.


지리적 환경이 좋은 곳에 마을이 형성된 것은 당연지사이다. 망월천 맑은 물에는 각종 고기들이 노닐고, 월출산이 마주 비치는 산자락에는 고즈넉한 정자가 자리 잡았을 것이다.
용의 품 안으로 들어가면 집안이 융성한다고 하여 용계마을에는 연안이씨가 600여 년전에 이곳에 터를 잡았으며, 250여 년 전에는 함양박씨들이 신안정마을의 물길을 찾아 들어왔다. 37


두봉유거에 대해『湖南樓旌總覽(호남누정총람)』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38


두봉유거(斗峯幽居)는 영암군 학산면 신안정 마을에 있으며, 감찰(監察 정6품)

을 지낸 동복오씨(同福吳氏) 오수탁(吳壽鐸)의 서식지소이다. 원운에 이르기를,

바람 일어 동네 집들 안개 낀 들판에 기울고

두억봉의 기세가 가까이 인가에 들어오고

푸른 산 사랑하여 이름을 지어놓고

드러누워 가을달과 봄꽃을 보노라


斗峯幽居 在靈岩郡 鶴山面 新安亭 監察 同福吳壽鐸棲息之所

(두봉유거 재영암군 학산면 신안정 감찰 동복오수택서식지소)

願韻曰(원운왈)

臨風設戶野烟斜(임풍설호야연사)

斗億峯光近入家(두억봉광근입가)

偏愛青山因作號(편애청산인작호)

臥看秋月與春花(와간추월여춘화)

이어서 진사(進士) 이희빈(李喜斌)이 지은 차운시가 소개되어 있다. 39


龍水鶴山隔近斜(용수학산격근사) 용수와 학산은 거리가 가깝고

新亭自穩主人家(신정자온주인가) 새로 지은 정자 인가와 더불어 평온하구나

應知屋宇如仙界(응지옥우여선계) 응당 옥우가 선계와 같음을 알겠네

滿壁圖書勝看花(만벽도서승간화) 벽에 가득한 도서꽃을 보는 것보다 낫도다


망월천 주변에 어찌 정자가 하나뿐이랴. 『湖南樓旌總覽(호남누정총람)』에는 송포정사( 松圃精舍)라는 또 다른 누정에 관한 기록이 있다. 40


송포정사는 영암군 학산면 신안정마을에 있으며, 동복오씨 오성록의 소요지소이다.
松圃精舍地在靈巖郡鶴山面 新安亭 同福吳成祿逍遙之所

(송포정사지재영암군학산면 신안정 동보오성록소요지소)


이어서 시 한 수를 소개하고 있다.


安分自全飽德遊(안분자전포덕유) 안분자족하니 저절로 편안하여 덕스럽게 노니네

耕餘最好讀春秋(경여최호독춘추) 농사일 끝나고 ‘춘추’읽기 가장 좋다

彈琴松榻應親鶴(탄금송탑응친학) 소나무 의자에 앉아 가야금 타며 학과 친하며

欲釣銀鱗故伴鴻(욕조은린고반홍) 은빛 고기 낚으며 갈매기와 짝하고 살구나

斗億清風來古友(두억청풍래고우) 두억봉 맑은 바람에 오랜 친구 찾아와

華山明月載詩舟(화산명월재시주) 화산의 맑은 달을 시의 배에 실어

功名負送雲千里(공명부송운천리) 공명일랑 천리 구름 밖에 보내버리고

世事穩忘隱草樓(세사온망은초루) 세상사 잊고 편안히 초가집에 은거하네


송포정사도 두봉유거와 마찬가지로 동복오씨가 세운 것이다.


망월천의 수려했던 풍광을 끼고 세워졌을 정자는 어디 가고, 신안정마을 앞은 잘 조성된 반듯한 제방이 지나고 있다.






Copyright © 영암문화원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