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링크
고반재(考槃齋)
본문
고반재(考槃齋) • 창건시기 : 초건 미상/1783년 중건/1842년 중수/1936년 중수/1982년 중수/1999년 중건 • 위치 : 서호면 노정길 245-3 고반재는 해명재(海明齋) 또는 강명재(講明齋)라고도 불렸으며, 지금은 노동사(蘆洞祠) 강당으로 사용되고 있다. 고반재 옆에는 밀양 김씨 신재(愼齋) 김견(金堅)을 비롯하여 송정 (松亭) 김중명(金重鳴), 이암(怡菴) 김경발(金景發) 3위를 모시는 노동사가 있다. 13 공신녹권(功臣錄券)은 선무원종 공신녹권과 진무원종 공신녹권으로 2건이 있는데, 이는 고반재와 노동사에서 제사를 지내는 김견과 김경발의 것이다. 토지 매매 문서 1건은 1628 년에 작성된 것으로 이를 통해 밀양 김씨가 정착하게 된 배경과 경제력을 볼 수 있다. 그 외남아 있는 호적 문서 7건은 모두 19세기의 것이라고 전하고 있다. 蘆洞祠源今始通(노동사원금시통) 노동사 15 의 근원이 이제야 통하네 義節復明長夜月(의절복명장야월) 의로운 지조는 동짓달에 다시 밝아지고 精靈不絕碩人風(정영부절석인풍) 정령에게는 은자의 풍모가 끊이지 않네 蒸嘗歲歲衣繼掖(증상세세의계액) 해마다 지내는 제사에는 옷을 계속 걷어 올리고 講習聲聲掀碧空(강습성성흔벽공) 배우고 익히는 소리마다 창공에 올라가네 扶植綱常時態足(부식강상시태족) 법도를 부여잡고 다지니 세태에 족하고 千秋吾道一心同(천추오도일심동) 우리의 도는 만고에도 한마음일 것이라네 考槃齋出絕埃中(고반재출절애중) 고반재는 띠끌이 없는 곳에 지어졌으니 綠樹靈西一路通(녹수영서일로통) 나무가 푸르른 영암 서쪽 한길로 통하네 居常若有承先議(거상약유승선의) 항상 선대 유지를 이어가고 있으니 到此誰非仰高風(도차수비앙고풍) 이곳에 이르러 누가 우러러보지 않으리 披雲步月揩心淨(피운보월개심정) 구름을 헤치고 달밤에 거니니 마음이 맑아지고 依卓看書世慮空(의탁간서세려공) 탁자에 의지하여 글을 보며 세상 생각을 비웠구나 假使忠魂千歲在(가사충혼천세재) 충성스러운 정신이 천년을 이어지듯 應知後裔孝誠同(응지후예효성동) 응당 후손들은 효성과 함께할 것을 알리라 一齋悠久兩顏成(일재유구양안성) 유구한 고반재에는 두 인물 18 이 배향되었네 龍灣二駕勤王事(용만이가근왕사) 용만 19 으로 주상을 호종하는 일에 힘을 보탰고 鞍峴殉身報國誠(안현순신보국성) 안현 20 에서 순국해 정성으로 나라에 보답했네 忠孝余全遺世業(충효여전유세업) 충과 효 모두 지켜 대대의 가업으로 전하고 絃歌相誦振家聲(현가상송진가성) 노래하고 서로 읊으니 집안의 명성이 떨쳐지네 士林縟禮如靈假(사림욕례여영가) 사림들은 신령에게 빌듯 성대한 의식을 거행하고 追慕孱孫曠感生(추모잔손광감생) 남은 자손들은 추모하니 만감이 크게 일어나네 蘆村窈窕一齋成(노촌요조일재성) 초막마을 고요한 곳에 한 재실 이루었네 士林縟禮如靈假(사림욕례여영가) 사림의 예의범절 신령스럽게 가깝도다 子姓仍看建立誠(자성잉간건입성) 자손들 정성들여 축성을 보게되니 當日勤勞輸節義(당일근노수절의) 당일 부지런히 노력하여 절의를 다하였네 千秋磕落樹風聲(천추개낙수풍성) 천년토록 효행하는 명성 쟁쟁하고 洋洋絃誦時盈耳(양양현송시영이) 양양하게 거문고 타며 시 읊으니 귀가 호강할 뿐이로다 行過誰無敬意生(행과수무경의생) 지나가는 나그네 그 누가 공경의 마음 없으리오 蘆山淑氣洞中明(노산숙기동중명) 여산의 맑은 기운 마을 가운데 밝도다 明義講忠實副名(명의강충실부명) 의리를 밝게하고 충성을 강학하니 실로 명성을 돕구나 三世綱常祠宇屹(삼세강상사우흘) 삼대의 기강이 영원토록 사우에 우뚝하고 一區絃誦俗塵晴(일구현송속진청) 한곳의 거문고 타며 시 읊날래가 속세의 먼지를 거두네 龍灣不朽覲王節(용만불후근왕절) 의주에서 임금에게 보인 절개 길이길이 전해지고 鞍峴況聞敵愾聲(안현황문적개성) 안현에선 하물며 적개심의 명성은 어떠했는가 風雨滿天陰且極(풍우만천음차극) 비바람 하늘에 가득차 음산함 또한 심하니 願言這裏線陽生(원언저리선양생) 이 속에서 한가닥 양기가 생기기를 바라노라 配食三賢一字成(배식삼현일자성) 삼현을 배알하니 하나의 문장 이루었고 鳴世文章遺緒業(명세문장유서업) 세상에 울림을 준 문장 서업을 남기었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