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링크 옛 이야기 신북면 호미모 본문 여그는 비가 안 오면 금방 가뭄이 들어서 땅이 쩍쩍 마르고, 비가 오면 물이 방천 나고 둑이 터지고 그랬어. 비가 하지, 소서까지 안 오니 초복, 중복 다 돼서 호멩이모를 무던히 많이 심었어. 비가 안 와도 그나마 촉촉한 곳은 호멩이로 구녁을 파서 심고, 땅이 아예 벌어지면 미양 잽혀 놓은 데도 있고 그라제. 여자들이 나란히 앉아서 호멩이로 구녕을 파서 모를 심어. 남자들은 심부름만 하지. 앉아서 심는 것은 남자들이 안 해. 모 쪄 나르지. 물도 나르고 그래. 모 같이 독한 것이 없어서 비가 안 와서 빼뺏 마르다가도 비가 오면 산다니까. 바짝 마른 곳에서 못 심고 쬐금이라도 촉촉해야 호멩이가 들어가지. 일단 심거노면 하늘에 달렸지. 나중에라도 비가 오면 모가 살고 안 오면 타 죽는 거지. 모판을 만들어 놓고 비는 안 오고 한께, 호멩이로 심는 거여. 그런 호미모로 심은 모는 쌀이 별로 좋덜 안 해. 수확도 반도 안 돼. 알랑미 마냥 찌드라니 생겨갖고 맛도 별로 안 좋아. 그래도 목구녕이 포도청이라 그나마도 벌었지. 덜 나고, 맛이 없어도 미양 나두는 것보다 나으니까 호미모라도 했지. 신북, 명동, 모산 일구, 그라고 학동 같은 데 천수답 하는 곳에서 물이 없응께, 그렇게 심었어. 월평 이복동 외에는 호멩이모 한 데가 많았어. 하도하도 안 되면 말뚝으로 구녕을 파서 모를 집어넣는디, 그것을 말뚝모라고 해. 아무리 해도 한 가마니도 안 나온디, 그래도 심거 놓고 보는 것이어. 먹을 것이 없은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