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마을
여그 바다 막기 전에 한동안은 하래 두 번씩 지렁이 파로 다녔어라. 그라고 저녁에는 또 전기 불 들고 기 주어서 애기들 갈칠라고 폴고 와갖고, 또 꺼생이 잡으로 가고 그랬어라. 갯지렁이 파기 전에 여자들은 기 잡고, 꿀 까고, 시하 잡어서 폴고 그랬는디, 갯지렁이 나온께 그것 파로 댕기면,“저렇게 더런 것을 으째서 파로 댕긴다우”하고, 처음에는 모른께 그랬는디, 해본께 그것이 돈이여. 처음에는 겁나 많이 잡었어. 지렁이는 손으로 파고, 시화는 잘잘한께 그물 만들어갖고 쪽대 처럼 밀고 다녀. 여그 시하처럼 맛난 데는 없어라. 갯…
우리 마을에서 저기 에프원 경기장 가다 보면 좌측에 산이 있는디, 거기가 작은 엄계산이여. 그 산기슭에 중바우가 있어라. 본래 거기에 암자가 있었다고 하는디, 거그 중이 제대로 수양을 못 쌓고, 이삔 색시에게 정신을 뺏겨서 바우가 되어버렸다고 합디다. 그것이 관세음보살님이 여인으로 변해서 저그 용두봉 용바우에서 목욕을 하고 있었는디, 이쪽 암자에서 중이 보고 뿅 가버린 것이제. 그래서 중이 앙거있는 모습으로 변했는디, 그 옆에는 풀어 놓은 바랑 형태의 바랑산이 있고, 중바우 앞에는 목탁과 목탁채 모양의 바위도 있어요. 중바우는 스…
유명조선국 통훈대부 행 상의원판관 류공의 묘숙인 완산이씨 부좌(祔左)류준(柳浚)공은 자가 징원(澄源)이고 스스로 호를 사교(四矯)라고 하였다.젊은 시절에 벼슬을 관두고 나주 모산에 정사(精舍)를 열어 강학하였다.그가 학도들을 깨우칠 때 다음과 같이 말했다.“학문(學問)하는 방도는 다른 것이 아니다. 자식이 되어서는 효도하고신하가 되어서는 충성하며, 부부가 되어서는 서로 역할을 구별하고,향촌에 사는 여러 연령의 사람들과의 관계나 벗과의 관계에서는차례와 신의가 있어야 하는 것, 바로 이것이 학문하는 도이다.”또 말했다. “엄격한 스승은…
영팔정(詠八亭)• 창건자 : 류관 • 창건시기 : 1406년/1689년중건/1985년 중수 • 위치 : 신북면 하정길 8영팔정은 신북면 모산리 마을 입구에 있다. 이 정자가 처음 세워졌을 때 이 지역은 나주목에 속했으며, ≪輿地圖書(여지도서)≫ <全羅道羅州牧(전라도나주목)> ‘누정(樓亭)’편에 “[ 詠八亭在羅州南四十里(영팔정재나주남사십리)]-영팔정은 나주 남쪽 사십 리에 있다” 고 적고 있다. 『羅州牧邑誌(나주목읍지)』에는 더 구체적으로 ‘[詠八亭在官門西四十里 非音面(영팔정재관문서사십리비음면)]-영팔정은 관문 서쪽 사십 …
벽간정(碧澗亭)• 중건자 : 도갑사 • 창건시기 : 1600년대 중기 이전 • 위치 : 군서면 도갑리 도갑사 계곡영암에는 남한의 금강산으로 알려진 월출산이 있다. 평야에서 우뚝 솟아올라 산전체모습을 보여주는 보기 드문 돌산으로 수많은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월출산 깊은 곳에 고즈넉한 산사가 있으니 도선국사(道詵國師, 826~898)가 헌강왕 6년(880)에 창건한 것으로 알려진 도갑사이다. 우리나라 풍수지리학의 대가인 도선국사가 월출산의 산세를 굽어보고 불국토의 기운을 담아내기 위한 터를 이곳에 잡았다. 사방이 높은 산으로 둘…
영암문화원 열람실 | 대표자 : 원장 김한남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로55
TEL : 061-473-2632 | FAX : 061-473-2732 | E-mail : ycc2632@hanmail.net
Copyright © 영암문화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