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천연기념물 제283호 영암 월곡리 느티나무(1982.11. 9 지정)
월곡리 느티나무
군서면 500년 천연기념물 느티나무
우리 마을 앞 쩌그 하천가에 오백 년도 더 된 영암에서도 엄청 큰 느티나무, 사장나무가 있어라. 군에서 영양제도 주고, 보호도 하고 그랬는디, 그 나무가 어마어마하게 큰 나무였는디, 자빠져 부러갖고, 부락에 안 좋은 일이 생기고 그랬어요. 나무 그늘이 좋아서 마을 사람들도 여름에 걱서 놀기도 하고, 여름에 쉬기도 하고, 그라고 독천장에 온 사람들도 쉬고 그랬는디, 어느참에 바람도 안 불었는디 쓰러져 부렀어라. (조사자 : 왜 쓰러지고, 무슨 안 좋은 일이 생겼습니까?) 저쪽은 내깔인께 뿌리가 요쪽으로만 뻗었는디, 여기 도로 넓이…
천 년이 더 된 이야기여라. 유학길에 오른 스님이 배를 타고 중국으로 떠나기 전에 월곡을 지나다가 들고 있던 지팽이를 땅에 꽂아놓고 하는 소리가“이 지팽이에 싹이 난다면 천년을 살 것이다 ”그람서“이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이 될 것이다”고 말하고 갔어라. 여그를 지나서 조금 더 가다가 바위섬에 당도해서는 웃옷을 벗어 바위를 덮고 말하길“내가 죽으면 이 바위가 검어 질것이고, 살아 있다면 희여질 것이다”라고 예언을 하고는 배를 타고 중국으로 떠나셨어라. 그란디 얼마 후 봄이 되자 그 지팡이에 싹이 돋아났는디, 하도 신기한께 동네 …
여그 마을 앞 도로가에 큰 느티나무가 있는디, 그 나무가 천연기념물 이백팔십삼호로 지정 되었어. 그라고 수령이 오백년 되었다고 쓰여 있는디. 그보다 채도 오래 되았어. 도선국사가 심었다는 전설이 있은께, 천년은 넘었다고 봐야제. 그란께 그 정자나무는 통일신라 말에 도선국사께서 우리 월산마을 주변에다 나무 세 그루를 심었다고 했는디, 한 그루는 마을 제일 우게 산 밑에다가 감나무를 심어 났는디, 그 감나무가 굉장히 컸었다고 했어. 옛날에는 감나무 밑에가 정자가 있었다고 했는디, 지금은 감나무도 정자도 없어진지 오래여. 그래서 예나…
자슥이 없으면 못 써라우. 옛날에는 애기 못나면 쫒겨 났어라우. 우리 동네에 애기가 없던 할머니가 있었는디, 얼마나 애기가 갖고 싶었으면 오십이 다 되야갖고도 그저 빌고 또 빌고, 지성으로 조상신께 빌고, 저그 쌍계사까지 다니면서 또 빌고, 얼매나 했는가 쉰이 다 돼서 애기가 들어 섰는디, 말이 쉰이제 옛날에는 할머니였어라. 지금도 여자나이 쉰이면 애기 못 나라. 그란디 옛날에 어떻게 낳것소, 다 조상신 덕이제. 그란디 복이제, 딸도 아니고 떡두깨비 같은 아들을 낳았는디 얼마나 애지중지하고 키웠것소. 업고 댕김서 땅에 내려놓지 않…
영팔정(詠八亭)• 창건자 : 류관 • 창건시기 : 1406년/1689년중건/1985년 중수 • 위치 : 신북면 하정길 8영팔정은 신북면 모산리 마을 입구에 있다. 이 정자가 처음 세워졌을 때 이 지역은 나주목에 속했으며, ≪輿地圖書(여지도서)≫ <全羅道羅州牧(전라도나주목)> ‘누정(樓亭)’편에 “[ 詠八亭在羅州南四十里(영팔정재나주남사십리)]-영팔정은 나주 남쪽 사십 리에 있다” 고 적고 있다. 『羅州牧邑誌(나주목읍지)』에는 더 구체적으로 ‘[詠八亭在官門西四十里 非音面(영팔정재관문서사십리비음면)]-영팔정은 관문 서쪽 사십 …
수성사(壽星社)• 창건자 : 수성사 • 창건시기 : 1628년 / 1952년 복구 / 2005년 신축 • 위치 : 영암읍 남풍리 224영암버스터미널에서 영암경찰서로 가는 길 중간 지점 남풍리에는 수성사라는 건물이 아름드리 고목을 배경으로 서 있다. 이곳은 조선 시대 영암읍성 남문 밖 3리에 있었다는 부군당(府君堂)이 있었던 곳이다.영암읍성은 고려 시대 후기에 조성되기 시작하여 조선 시대 세종조에 완성된 것으로 성벽 길이가 대략 오 리에 달하며, 동서남문 세 개의 성문이 구축되었다. 읍성 주변에는 조선 시대 정치의 중요한 업무였던 제…
대월루(對月樓)• 창건자 : 영암군• 창건시기 : 1650년 중건/1701년/1777년 증축/1845년 개건 • 위치 : 영암읍 동무리대월루(對月樓)는 관아에 소속된 누각(樓閣)으로 조선 시대 이전부터 영암읍성 중심부에 있었으며, 여러 차례 그 명칭이 바뀌었다. 대월루는 동헌이나 객사에 드나드는 관료들을 위한 접객, 행사, 의례, 연회나 지회가 열렸던 곳이다.대월루에 관한 내용은 영암군 누정을 소개하는 여러 문헌에 빠짐없이 등장한다. 1793년에 발행된 『湖南邑誌(호남읍지)』, 「靈巖邑誌(영암읍지)」에는 ‘對月樓 在 邑東門內(대월루…
영암문화원 열람실 | 대표자 : 원장 김한남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로55
TEL : 061-473-2632 | FAX : 061-473-2732 | E-mail : ycc2632@hanmail.net
Copyright © 영암문화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