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죽마을
영보정(永保亭)• 창건자 : 최덕지(崔德之), 신후경(愼後庚) • 창건시기 : 1450년경/1635년 중건 • 위치 : 덕진면 영보정길 10-8영보정(永保亭)은 영암 지역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정자 중의 하나로써 2019년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1793년에 편찬된 『靈巖邑誌(영암읍지)』에는 영보정에 관해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156영보정은 읍의 동쪽 10리 거리에 덕진면 영보리에 있다. 최덕지의 내외손들이 지었으며, 남전 여씨의 향약에 의하여 춘추로 제회하고 신의를 강하였다.永保亭 在邑東邊十里 崔德之內外孫所築也依藍田呂氏鄕約春秋…
아천정(鵞川亭)• 창건자 : 박응원(朴應元) 함양박씨문각 • 창건시기 : 1607년 창건/ 1921년 중건 • 위치 : 군서면 주암길 44아천정은 군서면 월곡리 주암마을에 있다. 아천공(鵞川公) 박응원(朴應元, 1552∼?)의 정자이다. 박응원의 본관은 함양으로 자(字)는 선백이며 호(號)가 아천이다. 그의 나이 54 세인 1605년 늦깎이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효행이 돈독하였으며 조상의 묘 옆에 터를 잡아 정자를 세웠다고 전한다.1614년 광해 6년의 기록에 영암사람 박응원[靈巖人 朴應元]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서, 그는 이때 6…
소호정(蘇湖亭)• 창건자 : 서희서(徐希恕) • 창건시기 : 1612년 / 1758년 중건 / 1977년 중건 • 위치 : 서호면 서호로 549서호면 쌍풍리는 은적산의 완만한 능선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호남의 젖줄인 영산강이 영암천을 거쳐, 학산천이 월출산 계곡과 이어지는 중간에서 은적산 깊숙이 들어온 곳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은적산 관봉(295.6m)에서 흘러내린 계곡물은 산골 정자 옆을 지나 유유히 흘러내려 학산천과 합류하고, 영암천을 따라 흘러 영산강을 접하고 넓은 바다로 나갔을 것이다.이곳은 원래 산골정(産骨亭)이라…
서호정(西湖亭)• 중건자 : 미상 • 창건시기 : 1500년대 • 위치 : 군서면 서호정(西湖亭)마을호남의 3대 명촌 구림마을은 남쪽 월출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군서천이 구불구불 마을을 돌아 서호로 빠진다. 그곳 마지막 언저리에 조성된 마을이 서호정마을이다. 그 주변에는 호은정, 회사정, 총취정 등이 있다. 지금은 내륙 깊숙한 마을이지만 과거에는 서호가 마을 언저리까지 펼쳐진 바닷가 마을이었다.서호정에 관한 기록은 박미(朴瀰, 1592~1645)가 쓴 <會社亭記(회사정기)>에서 찾아볼수 있다. 75......(전략) (군서…
부춘정(富春亭)• 창건자 : 강한종(姜漢宗) • 창건시기 : 1618년 / 1672년 중건 / 1866년 중건 / 1957년 재건 • 위치 : 영암읍 망호리 20영암 부춘정(富春亭)은 1618년 청암(淸菴) 강한종(姜漢宗, 1549~1622)이 건립한 정자이다.영암읍성 북쪽 망호정 가는 길을 따라가다 보면 영암천을 만나는 지점에 나지막한 산이 나오는데 그곳에 부춘정이 있다. 과거에는 이곳까지 돛단배가 접안 했던 곳이지만, 지금은 작은 연지로 축소되어 포구의 흔적만 남아있다.부춘정은 학들이 깃드는 오래된 나무숲이 있는 야트막한 부춘봉…
남암정(南巖亭)• 창건자 : 양달사(梁達泗) • 창건시기 : 1548년 • 위치 : 도포면 자라봉길 146도포면은 대부분 낮은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고, 남쪽으로는 영암천과 맞대어 있다. 그나마 가장 큰 산은 태봉산으로 해발 84미터쯤 되며, 산봉우리를 경계로 시종면과 나뉘어진다.태봉산 남쪽 기슭에 송죽정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 어귀에 남암정이 있다. 태봉산은 옛날 왕자(王子)의 태(胎)를 묻었다고 하여 태산(胎山) 또는 태산봉(胎山峰)이라 하였다.과거에는 이곳 언저리까지 영암천이 넘실대고, 멀리 월출산이 한눈에 조망되었을 것이다.본래…
영암문화원 열람실 | 대표자 : 원장 김한남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로55
TEL : 061-473-2632 | FAX : 061-473-2732 | E-mail : ycc2632@hanmail.net
Copyright © 영암문화원. All rights reserved.